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환각
- 심리검사
- 조증
- 심리상담
- 신경성폭식증
- 망상
- 아스퍼거증후군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우울증
- 정신증
- 경조증
- PTSD
- 고기능자폐
- 더마음공간
- 1급상담실
- 기분장애
- 캐너증후군
- 조현병
- 반응성애착장애
- 상담인
- 바른상담실
- 커피한약방
- 자폐스펙트럼장애
- 불안장애
- 섭식장애
- 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 심리치료
- 스트레스
- 우영우
- 정신병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칭찬의 단점 (1)
바른상담실 이야기

아이의 자존감을 높히기 위해서 "칭찬"해주는 것이 좋다는 것은 모든 부모가 모두 알고 있어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책때문에 칭찬의 효과에 대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데 칭찬을 하더라도 제대로 해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엄마가 "너는 최고다~" "너는 잘한다" "너는 똑똑하다" 등 칭찬을 많이 해주면 기대에 맞추려고 자기 이상이 높아질 수 있어요. 부모에게 맞춰주려고, 부모에게 칭찬을 받기 위해서 아이는 '잘 해야한다' 이런 마음이 생기게 돼요. 상민(가명)씨의 경우, 자기 이상이 높은데 자기는 그 기준에 비해 못하고, 능력이 없다고 지각했어요. 실제로는 좋은 대학, 좋은 회사에 다니지만, 스스로는 못한다는 자기비난, 죄책감이 많고,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증상과 진단기준
2022. 8. 3. 1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