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캐너증후군
- 스트레스
- 더마음공간
- 환각
- 정신증
- 1급상담실
- 경조증
- 자폐스펙트럼장애
- 고기능자폐
- 커피한약방
- PTSD
- 기분장애
- 조증
- 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 우영우
- 상담인
- 아스퍼거증후군
- 정신병
- 불안장애
- 심리상담
- 조현병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섭식장애
- 심리치료
- 신경성폭식증
- 바른상담실
- 반응성애착장애
- 망상
- 우울증
- 심리검사
- Today
- Total
목록우울증 (4)
바른상담실 이야기

이 장애는 몇 십 년 전에 현재와 같이 정식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 증상이 관찰된 시점은 백 년 이상 오래 전부터입니다. 이 장애는 예전에 소위 조울병(manic-depressive illness)으로 불렸습니다. 요즘에도 기분이 가라앉았다가 갑자기 들뜨는 사람을 보면 주변에서 쉽게 감당하기 어려울 때 "조울증 아니야?!" 식으로 잘못 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사용할 경우 매우 위험하게 사람을 낙인찍는 셈이 되는데요. 이런 페해를 막고 가급적 증상이 발현되는 모습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현재 용어로 개정되었습니다. 제1형 양극성 장애는 최소 하나의 조증 증상이 나타나는 순환성 기분장애(cyclic mood disorder)입니다. 한 기분 상태에서 다른 기분 상태로 급격한 ..

'우울증'은 이제 마음의 감기라는 흔한 수식어로 불릴 만큼 현대 사회에서 너무나 익숙한 정신질환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평생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성인 남성 10%, 성인 여성의 20%를 넘나들 정도로 누구든 자신의 인생에서 '살기가 참 힘들다' 라고 느껴지는 시점이 있나 봅니다. 사실 사람들마다 자신의 마음 상태에 대해 걱정하는 정도는 매우 다양합니다. 어떤 사람은 "살면서 슬럼프 같은 게 없는 사람도 있어?", "힘든 걸 안 겪는 사람도 있을까? 그런 건 스스로 이겨내야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스스로에 대한 걱정이 클 수도 있습니다. 더군다나 요즘은 정보의 홍수 시대이기에, '내가 혹시 우울증은 아닌가?' 하고 걱정하는 사람들은 심리상담실에 방문하기 전, 자신이 인터넷 상에서..

어린이 우울증도 있을까요? "애들이 무엇때문에 우울한가?" 라고 생각할 수 있어요. 심리학이나 정신의학에서는 어린이 우울증을 '아동 우울증'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아동 청소년 우울증에 대해서 한꺼번에 묶어서 설명하기도 해요. 우리는 우울한 아동이 자신의 방에서 혼자 조용하게 흐느껴 우는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실제로 그런 아동도 있긴 해요~), 많은 아동들은 다른 방법으로 자신의 우울증을 나타내요. 예를 들어, 성마름, 변덕, 약속이 깨지거나 옷을 잃어버린 것과 같은 작은 일에도 흥분하는 것, 변덕, 논쟁적이기도 하고, 잘 울고 주위 다른 사람들을 힘들게 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어요. 몇몇 아동은 분노 발작, 폭발적인 분노, 다른 사람의 화를 돋구는 행동, 책임전가와 같은 행동으로 자신의 혼란스러운..

오늘은 번아웃 증후군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특히 번아웃증후군과 우울증과의 관계에 대하서는 일반인들도 헷갈려하고 심지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견이 좀 있는 부분이에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번아웃증후군의 증상과, 번아웃증후군과 우을증과는 어떤 차이가 있고 또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그리고 자가진단기준에 대해서도 알아보기로 해요~ 번아웃 증후군의 유래 1974년 미국심리학자 허버트 프로이덴버거(Herbert Freudenberger)는 번아웃(burnou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번아웃증후군에 대한 연구를 게재한 것이 번아웃 증후군의 유래에요. 이후 크리스티나 마슬라호(Christian Maslach)도 정서적 소진, 이인화(depersonalization, 고객, 학생, 손님, 동료를 거리를 두거나 냉소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