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신경성폭식증
- 심리치료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조현병
- 심리검사
- 상담인
- 경조증
- 환각
- 기분장애
- 불안장애
- 정신증
- 우영우
- 정신병
- 자폐스펙트럼장애
- 바른상담실
- 커피한약방
- PTSD
- 1급상담실
- 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 심리상담
- 스트레스
- 반응성애착장애
- 조증
- 우울증
- 섭식장애
- 캐너증후군
- 고기능자폐
- 더마음공간
- 망상
- 아스퍼거증후군
- Today
- Total
목록정신증 (4)
바른상담실 이야기

'조현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란, 병명 그대로 기분 장애와 조현병의 증상이 겹쳐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병에 해당하는 전체 기간 중 절반 이상 기분장애 증상(조증 혹은 우울증)이 존재하고,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나는 기간은 최소 2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정신병적 삽화는 병의 초기, 중기, 말기 중 어느 시점에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조현정동장애에서는 진단 기준 상 기분 증상과 조현병 증상의 비율 및 최소 기간에 대해서만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증, 우울증, 정신병 삽화 중 어느 쪽이 먼저 나타나는지는 다양한 개인 차가 있습니다. 현재 조현정동장애와 관련한 명확한 통계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관련 연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임상적 장면에서 조현정동장애를 ..

이 이름은 '조현'이라는 개념으로 인해 마치 조현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병처럼 오해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연이어 '양상'이라는 개념이 덧붙여져서 '마치 조현병처럼 보이는 증상이 있다' 정도를 의미하게 됩니다. 즉, 조현병 처럼 보이는 증상이 있으며, 향후 조현병으로 발전할 수도 있지만, 정보의 한계로 인해 실제 진단을 내리는 데에 있어서는 신중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이 진단명은 조현병과 다른 특성을 가진 환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명칭입니다. 이렇게 별도로 명칭을 구분하게 되면 각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조현병'이라는 잘못된 낙인 지우기를 방지할 수 있을 거에요. 이렇게 진단 기준을 만들 때 기간을 감별하는 게 중요한 이유는 장애의 예후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단기 ..

'조현병(Schizophrenia)'은 여러 정신병 중 가장 이름이 많이 알려진 장애 중 하나이죠. DSM-5 진단체계에서는 '조현병 스펙트럼'으로 진단 방식이 바뀌었는데요. DSM-IV까지의 이전 진단체계에서는 조현병을 몇 가지 하위 유형[파괴형(와해형), 긴장형, 편집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조현병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기존처럼 독립적인 하위 범주로 구분하는 것은 증상 특성 상 적절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조현병을 일련의 증상들이 연속선 상(Spectrum)에서 발현하는 양상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조현병의 진단을 위해서는 DSM-5 진단기준 A에 기록된 5개의 정신병적 증상 중 최소 2개 이상이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또한 존재하는 증상들 중 망..

'정신병'이라는 단어는 아마도 정신건강 분야에서 가장 오랫동안 연구가 진행된 주제라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정신병적 상태를 진단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몇 가지 증상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간단히 표현하자면, '정신병' 환자의 마음은 현실에 접촉한 상태가 아니에요. 이렇게 현실과 제대로 접촉하지 않았을 때 이들은 보통 사람들과는 달리 아래와 같은 5가지 증상들을 보일 수 있습니다: (1) 망상(Delusions) '망상'이란 근거가 없는 잘못된 신념입니다. 이 '잘못된' 이라는 수식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어떤 사람이 살아온 문화적 환경, 교육 여건 상에서 상식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어떤 사람이 이런 잘못된 믿음을 가졌을 때 이를 반박할 수 있는 분명한 증거나 타인의 의견을 제시한다면 자신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