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심리치료
- 바른상담실
- 고기능자폐
- 상담인
- 정신증
- PTSD
- 반응성애착장애
- 더마음공간
- 심리검사
- 심리상담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아스퍼거증후군
- 우울증
- 기분장애
- 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 망상
- 캐너증후군
- 신경성폭식증
- 자폐스펙트럼장애
- 조현병
- 경조증
- 스트레스
- 정신병
- 우영우
- 섭식장애
- 조증
- 1급상담실
- 환각
- 불안장애
- 커피한약방
- Today
- Total
목록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2)
바른상담실 이야기

[참고]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SED: 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 이하 DSED)는 반응성 애착장애(RAD: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이하 RAD)와 비교하여 살펴보면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두 장애 모두 생애 초기에 원활한 애착관계 형성이 되지 않은 점이 유발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누구에게나 지나치게 잘 안기는 아이 낯선 사람에게도 지나치게 덥석덥석 잘 안기는 아이가 있습니다. 겉으로 보았을 땐 낯가림이 없고 사교적이며 애교많은 아이로 보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잘 모르는 사람인데도 과도하게 친밀한 티를 내면서 다가오면 이 아이를 어떻게 대해야 할 지 부담을 느낄 수도 있겠죠. 낯선 성인과 최소한의 거리..

[참고]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 : 이하 RAD)는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와 같이 설명해야 합니다. 두 장애 모두 양육자로부터 아이가 생애 초기에 충분한 보살핌을 받지 못해 유발된 장애이기 때문입니다. 밥도, 사랑도 모두 필요한 생애 초기 갓 태어난 아기에게 보호자의 사랑은 생존을 위한 먹기만큼 중요합니다. 인간은 생애 초기부터 누군가와 접촉함으로써 나를 먹여주고 키워주는 대상을 구분하려는 본능이 있습니다. 즉, 배고픔을 채우는 것, 나를 사랑해줄 누군가를 찾는 건 일종의 생존 욕구입니다. 출생 후 영아 시기에는 양육자가 아기와의 관계에서 기분좋은 접촉과 자극을 통해 안정된 애착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