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심리상담
- 정신증
- 스트레스
- 정신병
- 섭식장애
- 심리검사
- 아스퍼거증후군
- 망상
- 심리치료
- 바른상담실
- 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 불안장애
- 기분장애
- 고기능자폐
- PTSD
- 조증
- 자폐스펙트럼장애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신경성폭식증
- 상담인
- 우영우
- 경조증
- 커피한약방
- 우울증
- 반응성애착장애
- 조현병
- 캐너증후군
- 더마음공간
- 환각
- 1급상담실
- Today
- Total
바른상담실 이야기
아이를 칭찬하는 것의 단점이 있다고요? 칭찬의 단점 본문
아이의 자존감을 높히기 위해서 "칭찬"해주는 것이 좋다는 것은 모든 부모가 모두 알고 있어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책때문에 칭찬의 효과에 대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그러데 칭찬을 하더라도 제대로 해야하고, 그렇지 않으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엄마가 "너는 최고다~" "너는 잘한다" "너는 똑똑하다" 등 칭찬을 많이 해주면 기대에 맞추려고 자기 이상이 높아질 수 있어요. 부모에게 맞춰주려고, 부모에게 칭찬을 받기 위해서 아이는 '잘 해야한다' 이런 마음이 생기게 돼요.
상민(가명)씨의 경우, 자기 이상이 높은데 자기는 그 기준에 비해 못하고, 능력이 없다고 지각했어요. 실제로는 좋은 대학, 좋은 회사에 다니지만, 스스로는 못한다는 자기비난, 죄책감이 많고, 자신감이 없기 때문에 못 할까봐 불안감이 높았지요. 그런데 어떤 사람은 불안해서 더 하고, 행동적으로 더 무언가를 하는 사람도 있지만, 불안할 때 하지 않고 지연행동을 하는 사람이 있어요. 불안해서 회피하고 안하면, 실패( 결국 자기 기준에 충족하지 못하면 실패 아닌가?요? 객관적인 성공의 지표가 중요한 것 같지는 않아요) 했다고 생각하고 더 높은 자기 기준을 세움으로써 그것을 메꾸려고 하게 되었어요. 그러니 삶이 늘 쫓기고 불안하고 긴장하는 삶을 살게 되었지요.
아이를 키울 때, 칭찬을 하더라도 무조건 "잘했다" , "최고다", " 똑똑하다" 등 아이의 능력에 초점을 맞추는 칭찬은 엄마의 아이의 행동에 어느부분에 초점맞춰서 칭찬하냐에 따라 동기부분이 미묘한 차이가 생겨요.
잘한다고 칭찬할때, "너무 잘했어. 정말 잘했어요"라고 성취한 결과만을 가지고 상호작용하면, 아이들 마음 속에는 내가 잘해야만 칭찬을 받는구나, 잘해야 인정을 받는구나..자기 동기를 내세우기 보다는 엄마 아빠 동기를 열심히 쫓아가게 돼요.
과제수행의 성공여부가 부모의 성공여부로 동일화 시키는 태도가 강할수록, 자녀의 행동에 대해서 더 지시적인 언어를 많이 사용하고, 더 강압적인 태도로 아이의 행동을 이끌어가는 모습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성취를 부모가 분리하지 못할 때, 도우려하고 자신감을 높여주려고 능력에 대한 칭찬을 많이 해주려는 경우도 종종 있어요. 그러나 아이들을 칭찬할 때는 구체적으로 잘한 부분을 칭찬하고, 자랑스럽게 바라보고 표현을 해주는 것이 진정한 칭찬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7살인데, 하기 싫어하지 않고 용기내서 다시 쌓았은 것은 정말 잘한거야~"
"성공 못했지만, 최선을 다하는 것이 중요한 거야."
"떨려서 못할 줄 알았는데 시도한 것이 멋지다."
결과가 아니라 과정에 초점을 둔다면, 아이'는 열심히 하고 즐겁게 하는 것을 받아들여주네?' 하면서 자신의 내적동기에 집중하게 돼요. 내적동기는 스스로가 어떤 것을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를 말해요. 내적동기는 외적동기보다 훨씬 강합니다~ 아이가 내적동기를 키울수 있도록 과정에 집중한 칭찬을 해주는 부모가 되어보아요~
바른상담실 상담:인 플랫폼 https://sangdam.in
유튜브 바른상담실 이야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FprmtZiD-rgojpr7xsm91A
바른상담실 이야기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는
www.youtube.com
바른상담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umsim_io
바른상담실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심리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
blog.naver.com
'증상과 진단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불안장애(General Anxiety Disorder) - '병' 주고 '약' 주는 병 (0) | 2022.08.05 |
---|---|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s) - 남들은 몰라도 난 고통스럽다구. (0) | 2022.08.03 |
급성스트레스장애(Acute Stress Disorder)와 PTSD - 나의 안전을 위한 비상선언 (0) | 2022.08.03 |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와 주의력 결핍장애(ADHD) (0) | 2022.08.02 |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 (0) | 2022.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