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아스퍼거증후군
- 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 정신증
- 심리검사
- 우울증
- 조증
- 1급상담실
- 스트레스
- 더마음공간
- 조현병
- 심리상담
- 불안장애
- 기분장애
- 바른상담실
- 반응성애착장애
- 환각
- 고기능자폐
- PTSD
- 정신병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자폐스펙트럼장애
- 섭식장애
- 우영우
- 심리치료
- 경조증
- 캐너증후군
- 커피한약방
- 신경성폭식증
- 망상
- 상담인
- Today
- Total
목록증상과 진단기준 (43)
바른상담실 이야기

이 장애는 그 이름처럼, 지속적으로 우울감을 느끼는 상태입니다. 이쯤 되면 우울한 감정이 일시적인 상태가 아닌 인격의 일부분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증)은 과거 DSM-IV 진단 기준 상 만성 주요우울장애와 기분부전장애를 통합한 상태입니다. 이 장애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말 그대로, 만성적으로 우울합니다. 이들은 주요우울 삽화에 해당하는 증상을 때때로 느낄 수도 있습니다. 즉, 무망감, 피로감, 기분이 저하된 느낌, 식욕 문제, 수면 문제 등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다만 꼭 주요 우울삽화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우울한 기분을 느끼지 않는 날보다는 느끼는 날이 더 많으며, 이 경우 하루 대부분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기분저하증에 해당하는 사람은 오랜 시간 동안..

가임기 여성이라면 피할 수 없는 경험, 월경은 사실 여성에게 그리 기분좋은 경험은 아닙니다. 월경 주기에 동반되는, 여성이라면 느낄 만한 신체적 변화가 떄로는 일상생활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죠. 이러한 신체적 변화에는 주관적으로 느끼는 불쾌감, 피로감, 가슴 부위의 민감함, 체중 증가, 복부 팽창 등이 있습니다. 병원에 가서 진료를 정식으로 받기에는 애매하지만 여성일 경우 자신은 분명히 느끼는 변화입니다. 어떤 여성들은 이런 신체적 증상이 심할 경우 하루 일과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휴식하고픈 욕구를 강하게 느낍니다. 생리는 일생 중 가임기 동안 지속적으로 경험해야 하기에 나만 이렇게 민감한 건가? 아니면 다른 여성들도 똑같이 나만큼 힘든건가? 를 궁금해할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DSM 진단기준 상 월..

이 장애는 몇 십 년 전에 현재와 같이 정식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 증상이 관찰된 시점은 백 년 이상 오래 전부터입니다. 이 장애는 예전에 소위 조울병(manic-depressive illness)으로 불렸습니다. 요즘에도 기분이 가라앉았다가 갑자기 들뜨는 사람을 보면 주변에서 쉽게 감당하기 어려울 때 "조울증 아니야?!" 식으로 잘못 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사용할 경우 매우 위험하게 사람을 낙인찍는 셈이 되는데요. 이런 페해를 막고 가급적 증상이 발현되는 모습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현재 용어로 개정되었습니다. 제1형 양극성 장애는 최소 하나의 조증 증상이 나타나는 순환성 기분장애(cyclic mood disorder)입니다. 한 기분 상태에서 다른 기분 상태로 급격한 ..

조증 삽화는 제1형 양극성장애를 진단할 때 포함되는 항목입니다. 이 삽화는 원래 19세기 경부터 연구 대상이 되었습니다. 조증 증상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는 자존감의 팽창, 운동 및 활력의 과도한 증가, 말을 계속 쏟아내야 할 듯한 참을 수 없는 느낌입니다. 물론 이러한 성향을 지닌 사람들이 내 주변에서 일부 떠오를 수 있을 거에요. 하지만 조증이라는 정신장애에 해당할 정도로 일반인들이 감당 못할 만큼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조증 삽화'는 쉽게 말하자면 극도로 고양된 기분 상태입니다. 얼핏 들으면 이 모습이 별로 문제될 게 없다고 생각될 수도 있습니다. 비교적 경미한 증상을 나타낼 경우 주변에서 바라보았을 때는 다소 들떠 있고, 간혹 재미있는 유머를 구사하며 상대방을 웃게 만드는 밝..

'우울증'은 이제 마음의 감기라는 흔한 수식어로 불릴 만큼 현대 사회에서 너무나 익숙한 정신질환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평생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성인 남성 10%, 성인 여성의 20%를 넘나들 정도로 누구든 자신의 인생에서 '살기가 참 힘들다' 라고 느껴지는 시점이 있나 봅니다. 사실 사람들마다 자신의 마음 상태에 대해 걱정하는 정도는 매우 다양합니다. 어떤 사람은 "살면서 슬럼프 같은 게 없는 사람도 있어?", "힘든 걸 안 겪는 사람도 있을까? 그런 건 스스로 이겨내야지!"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스스로에 대한 걱정이 클 수도 있습니다. 더군다나 요즘은 정보의 홍수 시대이기에, '내가 혹시 우울증은 아닌가?' 하고 걱정하는 사람들은 심리상담실에 방문하기 전, 자신이 인터넷 상에서..

'조현정동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란, 병명 그대로 기분 장애와 조현병의 증상이 겹쳐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병에 해당하는 전체 기간 중 절반 이상 기분장애 증상(조증 혹은 우울증)이 존재하고,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나는 기간은 최소 2주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정신병적 삽화는 병의 초기, 중기, 말기 중 어느 시점에서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조현정동장애에서는 진단 기준 상 기분 증상과 조현병 증상의 비율 및 최소 기간에 대해서만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증, 우울증, 정신병 삽화 중 어느 쪽이 먼저 나타나는지는 다양한 개인 차가 있습니다. 현재 조현정동장애와 관련한 명확한 통계는 보고되지 않았으며 관련 연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임상적 장면에서 조현정동장애를 ..

'망상'이란 쉽게 말하면 잘못된 믿음입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잘못된 믿음이란, 분명한 근거가 현실 상에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어떤 사람이 그 근거에 반하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다만 여기에서 '잘못된' 이라는 수식어 또한 주관적으로 해석하지 않는 게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보죠. 색정망상(erotomamanic). (사회적 지위가 더 높은 누군가가 자신을 사랑한다는 망상 과대망상(grandeur). 자신이 신이나 영화배우와 같이 높은 지위를 가진 사람이라는 망상 죄책망상(guilt). 자신이 절대 용서받을 수 없는 죄나 중대한 실수를 범했다는 망상 질투망상(jealousy). 배우자나 동반자가 외도를 저질렀다는 망상 피동망상(passivity). 전자파 같은 외부 세계의 힘이 자신을 통제..

'단기 정신병적 장애(Brief Psychotic Disorder)'란, 이전에 특별한 정신병적 증상이 없었던 사람이 갑자기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상태입니다. 즉, 정신병적 상태에 해당하는 양성 증상(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혹은 긴장증 등 비정상적인 정신운동상태 중 최소 1개 이상의 증상이 갑작스럽게 발병하는 경우입니다. 즉, 단기 정신병적 장애란 '사람이 감당할 수 없는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일시적으로 인간으로의 정상적 기능을 상실한 상태'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이 의식선 상에서 도저히 직면할 수 없는 시련, 혹은 불가항력적인 고통을 체험했을 때 잠시나마 인간으로서 제대로 생각하고, 느끼고, 합목적적으로 행동하는 기능에 문제가 생긴 상태인거죠. 이 장애가 있는 사람은 매우 강렬한 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