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더마음공간
- 캐너증후군
- 정신병
- 자폐스펙트럼장애
- 신경성폭식증
- 경조증
- 스트레스
- 심리검사
- 우영우
- 정신증
- 섭식장애
- 망상
- 커피한약방
- 반응성애착장애
- 기분장애
- PTSD
- 조증
- 환각
- 1급상담실
- 심리치료
- 조현병
- 불안장애
- 상담인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아스퍼거증후군
- 탈억제성사회적유대감장애
- 심리상담
- 바른상담실
- 고기능자폐
- 우울증
- Today
- Total
바른상담실 이야기
수집광(Hoarding Disorder) - 내 물건은 다 내 꺼야, 건드리지마. 본문
이 곳은 쓰레기 집?!
'쓰레기 집' 이라는 검색어로 걸러지는 뉴스기사를 보신 적 있나요?
이런 기사에는 도저히 사람이 살 수 없을 것 같은 생활 공간에 온갖 잡동사니가 쌓여있는 사진이 있습니다. 도대체 이런 곳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지, 밥을 먹고 잠을 잘 공간이 없을 정도로 물건들이 가득 차 있는데 거주자는 왜 치울 생각이 없는지, 보통 사람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안되는 광경이죠.
쓸모없는 잡동사니를 왜 못 버리지?
위와 같은 환경에서 사는 사람들은 '수집광(Hoarding Disorder)'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이 가진 물건이 실제 가치가 없을 때도 가치가 있다고 믿습니다. '수집광'들은 자신이 가진 물건과 분리되는 걸 극도로 싫어합니다. 즉, 자신의 소지품에 대해 매우 감정적인 애착을 느끼고 있어요. 이들은 자신이 가진 물건이 없어질 경우 매우 고통스러워 하기에 잡동사니들을 버리지 않고 집 안에 쌓아두곤 합니다. 이런 행동이 반복되어 결국 주거 공간을 다 차지할 만큼 물건들이 쌓이면 정상적 생활이 불가능한 정도로 물건을 버리지 못합니다.
* 관련 기사 링크: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916500124
DSM-5 진단기준 이전까지는 '수집광'이 독립적 질환이 아닌 강박장애의 다른 형태로 분류되기도 했습니다. '수집광' 환자들의 증상은 강박장애와는 다른 양상이기에 이전에는 별도의 장애로 구분되었습니다. 그러나 강박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침투적 사고나 강박 행동으로 인해 고통을 느끼지만, '수집광'들은 원하는 물건을 모을 때 희열을 느낀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많은 '수집광'은 우유부단함, 완벽주의, 회피, 꾸물거림, 계획 세우기의 어려움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수집광' 증상은 10-20대에 발현되는 경우가 다수이며, 30대 중반 경 직업 활동이 본격화되는 시점에서는 임상적으로 유의할 만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최근의 정신장애 진단기준(DSM-5)에서 독립 질환으로 분류되었기에 치료기법 면에서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일단 발병하면 만성적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장기적 관점에서 개인의 발달사 및 가족력, 생활 습관 등 면밀한 조사와 심리적 개입이 바람직합니다.
DSM-5 진단기준
A. 실제 가치와는 상관없이 소지품을 버리거나 소지품과 분리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어려워한다.
B. 이런 어려움은 소지품을 보관해야만 하는 욕구와 이를 버리는 데 따르는 고통에 의해 생긴다.
C. 소지품을 버리기 어려워해서 결국 물품들이 모여 쌓이게 되고, 이는 소지품의 원래 용도를 심각하게 저해하여 생활을 어지럽히게 된다. 생활이 어지럽혀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가족 구성원이나 청소부, 다른 권위자 등 제3자의 개입이 있을 경우뿐이다.
D. 수집광 증상은 (자신과 타인을 위한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E. 수집광 증상은 뇌손상이나 뇌혈관 질환, 프래더-윌리 증후군과 같은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니다.
F. 수집광 증상은 다른 정신질환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예. 강박장애의 강박 사고, 주요우울장애의 감소된 에너지, 조현병이나 다른 정신병적 장애에서의 망상, 주요신경인지장애에서의 인지 능력 결함, 자폐스펙트럼장애에서의 제한된 흥미).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과도한 습득 동반: 소지품을 버리는 데 어려움이 있으면서, 동시에 필요가 없거나 가능한 공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하게
소지품을 습득하는 행위가 동반되어 있을 때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좋거나 양호한 병식: 수집광과 관계된 믿음과 행동(소지품을 버리는 데 어려움, 소지품을 채우거나 과도한 습득과 관계된)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한다.
좋지 않은 병식: 수집광과 관계된 믿음과 행동들이 반론의 증거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없다고 대체로 확신한다.
병식 없음/망상적 믿음: 수집광과 관계된 믿음과 행동들의 반론의 증거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없다고 완전히 확신한다.
바른상담실 상담:인 플랫폼 https://sangdam.in
바른상담실 상담인
sangdam.in
유튜브 바른상담실 이야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FprmtZiD-rgojpr7xsm91A
바른상담실 이야기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는
www.youtube.com
바른상담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umsim_io
바른상담실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심리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
blog.naver.com
'증상과 진단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모광(털뽑기장애: Trichotillomania[Hair-Pulling Disorder]) (0) | 2022.08.13 |
---|---|
피부뜯기장애(Excoriation[Skin-Picking] Disorder) - 내 몸에 상처가 나더라도. (0) | 2022.08.13 |
신체이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 내 외모는 왜 이 모양이지?? (0) | 2022.08.11 |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원치 않는 생각과 행동의 반복, 그리고 고통. (0) | 2022.08.08 |
범불안장애(General Anxiety Disorder) - '병' 주고 '약' 주는 병 (0) | 2022.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