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상담실 이야기

신체이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 내 외모는 왜 이 모양이지?? 본문

증상과 진단기준

신체이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 - 내 외모는 왜 이 모양이지??

녹색광선 2022. 8. 11. 18:47
이미지 출처: clipartkorea.co.kr

난 왜 이리 못 생기게 태어났을까? ㅠㅠ
난 남자인데도 왜 이리 골격이 호리호리하지..? 왜 체형이 기형인 모습으로 태어난거야..??
내 코는 무난한 모양이 아니야..희한해. 다른 사람들하고 너무 다르게 생겼어.



신체이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믿음을 갖고 있어요. 자신의 몸에 뭔가 결함이 있다는 생각을 지우기 힘들어 합니다. 그로 인해 정형외과에서 다수의 수술을 하기도 하지만 좀처럼 자신의 외모에 만족하지 못합니다. 그로 인해 직업 활동을 하거나 사람을 만날 때 스스로 위축되기도 합니다.

신체이형장애 환자들은 자신의 가상적인 결점을 고치기 위해 의료적 시술(박피와 같은)이나
성형수술을 요청하는 빈도가 높지만, 이들은 종종 시술이나 수술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다.
이런 이유 때문에 신체이형장애 환자들에게는 대개 수술을 금지한다.

[인용 출처: 「쉽게 배우는 DSM-5: 임상가를 위한 진단지침」, 제임스 모리슨 (지은이),신민섭 등(옮긴이), 시그마프레스]


'신체이형장애(Body Dysmorphic Disorder)'란 이렇게 신체 일부분에 결함이 있다는 왜곡된 믿음을 갖는 정신장애를 뜻합니다. 다만 이러한 믿음이 망상장애로 진단될 정도로 기괴하거나 비현실적이지는 않습니다. 자신의 특정한 신체 부위가 모양 혹은 크기 면에서 이상하다고 걱정하는 마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걱정이 심해지면, 그 부위에 대한 생각을 끊기 어려울 정도로 계속 집착하거나 거울로 장시간 그 부위를 바라보는 등 자신의 걱정에 함몰되어 버립니다. 혹은 자신의 눈에 '이상하게 보이는 신체 부위'의 형태나 크기를 '바로잡기 위해' 성형수술을 하거나, 자신의 걱정거리에 대해 안심과 위로를 건넬 수 있는 누군가에게 정신적으로 의지할 수도 있어요.
이들은 보통 자존감이 낮습니다. '신체이형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장면에서 타인이 나를 어떻게 바라보는 지에 대한 걱정과 불안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남들과 자신의 외모를 비교하기도 하고, 시간이 어떻게 흐르는지 모를 정도로 몸치장을 하는 데에 신경을 쓰기도 합니다.

거울로 내 얼굴을 뚫어지게 바라볼 수록..?

이미지 출처: clipartkorea.co.kr


여드름이나 잡티 때문에 걱정을 해 본 분들은 거울을 많이 보는 사람의 심정을 아마 아실 거에요. 보통 자신의 얼굴을 오래, 자세히 바라볼 수록 내 얼굴의 결점은 왠지 커 보이고, 더 잘 보이는 것 같죠.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나 자신만큼 내 외모나 몸의 특징에 관심이 없답니다.
자신의 신체 부위에 대한 비합리적인 걱정에 함몰될 수록 그로 인해 사회생활에서도 자신감을 잃고 열등감에 빠지기 쉬워요. 왜 이러한 왜곡된 신념이 굳어졌는지에 대해 심리치료를 통해 자신에 대한 전반적 통찰이 필요합니다.


DSM-5 진단기준

A. 타인이 알아볼 수 없거나 혹은 미미한 정도인,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체적 외모의 결함을 의식하고 이에 대해 지나친 몰두와 집착을 보인다.
B. 외모에 대한 걱정 때문에 질환 경과 중 어느 시점에 반복적 행동(예. 거울 보기, 과도한 치장, 피부뜯기, 안심하려고 하는 행동)이나 정신적인 행위(예. 자신의 외모를 다른 이와 비교하는 것)를 보인다.
C. 이런 집착은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D. 외모에 대한 집착이 섭식장애의 잔단을 만족하는 사람에서 보이는 신체 지방이나 몸무게에 대한 염려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근육이형증 동반: 자신의 체격이 너무 왜소하거나 근육질이 부족하다는 믿음에 사로잡혀 있다. 흔히 있는 경우지만 다른
신체 부위에 사로잡혀 있을 때도 역시 추가 서술될 수 있다.
다음의 경우 명시할 것:
"나는 못생겼다"거나 "나는 기형이다"는 등의 신체이형장애의 믿음과 관련된 병식의 정도를 나타낸다.
좋거나 양호한 병식: 신체이형장애의 믿음이 진실이 아니라고 확신하거나 진실 여부를 확실하게 인지하지 못한다.
좋지 않은 병식: 신체이형장애의 믿음이 아마 사실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병식 없음/망상적 믿음: 신체이형장애의 믿음이 사실이라고 완전히 확신한다.



바른상담실 상담:인 플랫폼 https://sangdam.in

바른상담실 상담:인

국내 최초 1급 심리상담실 플랫폼 심리학박사가 검증한 1급 및 박사급 선생님들의 상담실

sangdam.in

유튜브 바른상담실 이야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FprmtZiD-rgojpr7xsm91A

바른상담실 이야기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는

www.youtube.com

바른상담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umsim_io

바른상담실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심리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

blog.naver.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