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상담실 이야기

우영우와 아스퍼거 증후군(feat, 자폐스펙트럼) 본문

증상과 진단기준

우영우와 아스퍼거 증후군(feat, 자폐스펙트럼)

바른상담실 이야기 2022. 7. 18. 09:56

우영우와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특징인 특정사물(고래)에 대한 집착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 우영우~!'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인기와 함께 자폐스펙트럼 및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높아진 관심만큼 우영우의 자폐 연기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았고, 어느 분은 자폐에 대한 희망적인 이야기를 써줘서 고맙다고도 하고, 어느 분은 지나치게 미화해서 표현했다며 비판하기도 했습니다.

어쩌면 그도 그럴 것이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스펙트럼'이라는 단어에서 보듯이 그 범위가 넓어서 어느 한두가지만을 보고 단정하기가 굉장히 어렵기 때문입니다.

극 중에서 우영우에게 보이는 아스퍼거 증후군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일종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은 엘론머스크가 앓고 있다고 밝히면서 우리에게도 익숙해졌죠. '어? 이상하다. 우영우는 극 중에서 한번도 아스퍼거 증후군을 갖고 있다고 하지 않았는데요? 우영우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다고 했어요.'

극 중에서 우영우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다고 소개된 이유는 아마도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추정컨대 DSM-5로 넘어오면서 아스퍼거증후군이라는 진단명이 삭제되고, 공식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일종으로 포함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다고 밝힌 테슬라 CEO, 엘론 머스크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 알기 위해 먼저 진단기준을 정확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DSM-5에 나오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A, B, C, D에서 언급한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사람만이 자폐스펙트럼으로 진단된다. 
A. 다양한 분야에 걸쳐서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 결함으로 현재 또는 과거의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낸다.(다음은 예시이며, 증상을 망라한 것이 아님. 본문 참조)
  1. 사회적-감정적인 상호관계의 결핍. ( 예, 비정상적인 사회적 접근과 정상적인 대화의 실패. 흥미나 감정 공유의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 및 반응의 실패)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결함 (예,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불완전한 통합. 비정상적인 아이컨택과 바디랭귀지, 제스쳐 등의 이해와 사용의 결함. 표정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전반적 결핍)
  3. (보호자 외의) 관계발전, 유지 및 관계에 대한 이해의 결함. ( 예,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행동이 어려움. 상상 놀이를 공유한다던가 친구를 사귀기가 어려움. 주변인에 대한 관심 결여) 
B.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 관심 또는  활동을 보이고, 현재 또는 과거에 아래의 2가지 이상에 해당한다.
  1. 반복적인 말, 운동성 동작 혹은 물체의 반복적인 사용(반향어, 특이한 어구 사용). (에, 장난감 정렬하기, 반복적인 물체 튕기기)
  2. 언어적,비언어적 행동에 있어 반복적이고 의례적인 행동에 고착되고 융통성 없는 강한 집착(똑같은 음식(feat. 김밥)을 먹기를 고집하기, 반복된 질문이나 사소한 변화에 강하게 고통받음).
  3. 비정상적으로 극도로 제한되고 집착적인 흥미(평범하지 않은 물체에 대한 강한 애착(feat 고래), 과도하게 국한되거나 고집스러운 흥미).
  4. 감각에 대해 지나치게 강하거나 지나치게 약하게 반응. 또는 환경이 감각을 자극하는 측면에 대해 특이한 관심( 예, 통증/온도에 대한 무관심. 특정 음향이나 감촉에 대한 부정적 반응. 특정 물체에 대한 과도한 냄새 맡기, 만지기. 빛이나 회전하는 물체에 대한 시각적 매료)
C. 장애는 반드시 초기 발달 시기부터 나타나야 한다. (단, 사회성의 요구가 환자의 제한된 능력을 넘어서는 시점까지는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고, 학습으로 증상이 감춰질 수 있다.)
D. 위의 증상이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전반적인 영역에서 일상의 기능수행을 총체적으로 제한하고 방해한다.
  • 이러한 장애는 지적장애(지적발달장애) 또는 전반적 발달지연으로 더 잘 설명되지 않는다. 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자주 동반되나, 같은 것은 아니며, 동반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의사소통이 전반적인 발달수준에 기대되는 것보다 저하되어야 한다.

위 진단기준에서 보듯이 우영우는 똑같은 음식(김밥)을 먹기를 고집하고, 반향어를 사용하며, 고래에 과도한 흥미를 보입니다. 캐릭터를 잘 나타내는 설정이죠.

 

여기서 주의할 점은 DSM-4 진단기준상 별도로 있었던 아스퍼거 장애를 포함하여 자폐성 장애, 기타 광범위성 발달장애로 진단된 경우에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진단이 내려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편, 사회적 의사소통에 뚜렷한 결함이 있으나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다른 진단 항목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아닌 사회적 의사소통장애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에 대해서 진단기준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해요.

하지만 글만으로는 전문적인 부분까지 담아내기가 어려우니, 보다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꼭 검증된 전문가 분에게 검사를 받고 상담을 받아보시기를 권해드려요.

 

바른상담실 상담:인 플랫폼 https://sangdam.in
유튜브 바른상담실 이야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FprmtZiD-rgojpr7xsm91A

 

바른상담실 이야기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는

www.youtube.com

바른상담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umsim_io

 

바른상담실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심리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