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상담실 이야기

우울증 증상 유형별로 보기 본문

증상과 진단기준

우울증 증상 유형별로 보기

바른상담실 이야기 2022. 7. 17. 23:23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트에서는 우울증의 진단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사실 우울증이라는 것은 큰 카테고리이고 그 안에서도 세부적으로는 많은 우울증상이 있어요. 마치, 감기에도 코감기, 목감기가 있는 것 처럼 말이에요.

 

이번에는 우울증의 세부 유형과 유형별 증상을 알아보려고 해요

 

 

 

  • 우울증의 세부유형
  • 일반적인 우울증
    우울한 기분이나 의욕저하를 주로 호소하며 안절부절 못하거나 행동이 느려지기도 한다. 잠이 잘 오지 않고 자주 깨고 일찍 일어나며 수면의 질이 좋지 않아 자도 잔 것 같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하루 종일 우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 만성 우울증
    우울증이 1년 이상 지속될 때를 말한다. 경도 우울증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을 말하며, 만성 우울증이라는 진단은 없다. 단지 우울장애가 지속되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 회피성 우울장애
    회피성 우울장애는 정신적으로 큰 충격을 받은 후에 발생하는 급성 정신질환으로, 회피성 성격장애와 중등도~고도 이상의 우울장애가 동반된다. 이런 경우는 중범죄 이상의 피해를 겪거나 대형 사고를 겪을 경우에 발생한다. 만성으로 진행될 경우 히키코모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 양극성 장애
    만성 우울증이 지속되는 도중 조증 삽화가 일어난 경우를 의미한다. 조울증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정신장애로 등록되어 있다.
  • 반복성 우울장애
    일상생활에 심한 지장을 주는 중등도 또는 고도 이상의 우울장애가 1년 이상 지속될 때 진단된다. 반복성 우울장애는 정신장애로 분류되어 있다.[18]
  • 멜랑콜리아형 우울증(major depression with melancholic features)
    흥미와 즐거움의 현저한 감소가 주 증상으로 나타나는 케이스를 가리킨다. 계속해서 멍한 상태를 보이며[19](브레인 포그, 정신운동지체) 좋아하던 것에 대한 흥미가 줄어들거나 사라지고 식욕과 성욕이 심각하게 감소하는 등의 특징이 있다. 우울한 기분 자체는 많이 느끼지 않으므로 우울증에 걸린 것을 자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
  • 불안성 우울증
    불안하고 초조한 모습이 주로 나타나는 경우를 뜻한다. 불면증이나 공격적인 행동 등으로 사회적인 기능장애가 큰 경우도 있다. 아침에 특히 증상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 장래성 우울증
    자신의 미래에 대한 심한 걱정 때문에 우울감을 자주 느껴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특히, 취업의 문이 가뜩이나 좁은 상황에서 코로나 19까지 겹치자 취업의 문이 더더욱 좁아지고 있다. 이런 우울증은 장래가 보일만한 경우가 발생하면 우울감이 감소하고, 장래희망을 이루면 사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증세는 더욱 심해진다.
  • 망상형 우울증
    귀신이 자신을 공격한다던지, 사람들이 자꾸 전파 위협을 한다던지 등 사실이 아니지만, 그것을 믿고 우울증 증세가 보일 때 일어난다. 망상 유형에 따라 우울증 증세도 차이를 보이며, 망상장애 치료를 하면 차츰 사라진다.
  • 비정형 우울증(atypical depression)
    기본적으로는 우울증의 증상을 가지고 있지만, 일시적인 기분의 반응성을 가지고 있다.(mood reactivity) 즉 일반적인 우울증 환자는 대체로 외부의 긍정적 자극에도 반응이 둔화되어 즐겁거나 기쁜 감정이 줄어들지만 이들은 즐거운 일이나 기쁜 일에 정상적으로 반응한다는 것. 그래서 본인 스스로도 우울증인지 잘 자각하지 못한다. 다만 기본적인 기분 자체가 우울한 쪽으로 많이 치우쳐있어 쉽게 좌절하고 우울해한다. 임상적으로는 주기적으로 별다른 이유없이 우울해지거나 거절에 대한 과민성을 보이고 주변인과의 관계에 회의를 가지거나 차단하는 등의 행동도 보인다. 식욕이나 체중이 급격히 늘거나 수면이 과다해지거나, 팔다리가 납처럼 무거워진 듯이 느껴지거나, 대인관계에서 애착안정성을 보이는 경우 중 2가지 이상이 해당된다면 비정형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 기준에 부합해도 증상이 2주일 이상은 지속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어요. 혹은 비교적 약한 증상을 몇 년 이상 겪고 있을 수도 있어요. 위의 증상에 절대적으로 부합하지 않더라도 스스로가 우울장애 증상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면 상담을 받아 보시길 권해드려요.

 

 

바른상담실 상담:인 플랫폼 https://sangdam.in
유튜브 바른상담실 이야기 https://www.youtube.com/channel/UCFprmtZiD-rgojpr7xsm91A

 

바른상담실 이야기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는

www.youtube.com

바른상담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jumsim_io

 

바른상담실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상담에 진심을 다하는 심리상담사들의 이야기입니다. 진심은 단지 마음가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진심은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하고, 최고의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바른상담실 이야기

 

Comments